BTCUSDTPERP PERPETUAL MIX CONTRACT
Education
Updated

HARMORIN의 하모닉이야기10- 전설이 되어버린 1.618XA 나비 패턴 이야기

안녕하세요. 하모닉 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하모린 입니다. 오늘은 나비패턴의 재미있는 역사? 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나비패턴을 사용하고 계실 것입니다.
특히 나비 패턴은 이런 식으로 파동의 끝에서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데요.
snapshot

크랩 패턴은 1.618이라는 큰 확장을 통해 올라갔기 때문에 상승 추세가 굉장히 강한 경우 우리가 기대했던 D 반전 값에서 바로 반전을 하지 않고,
쪼끄맣게 작은 패턴을 한번 더 완성한 후 종종 반전에 성공하기도 합니다.
이런 자리에서 나비패턴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을 검색하시면 1.618 확장값을 가지는 나비가 등장하기도 하고 규격도 있습니다. 이것은 어떻게 된 것일까요.
나비 패턴은 브라이스 길모어가 발견한 패턴인데요,
스캇 카니의 최초의 책인 1998년 더 하모닉 트레이더라는 책에서는 1.618XA 반전값을 가지는 나비 패턴이 'Butterfly with a 1.618 Projection of XA' 라는 이름으로 등장합니다.

snapshot

이런 규격을 가지고 있는대요. 초기의 나비에서는 이러한 스폐셜한 나비 패턴이 존재했습니다.
이 때에는 BC 프로젝션도 길어져야 하므로 2.618의 규격까지 좀 더 길게 설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초기에 이러했던 규격은 다음 책인 하모닉 트레이딩 1권에서 크랩 패턴과의 차별화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는 과정에서
B= 0.786/1.27XA 로 규격화됩니다.
그래서 초기에 발표되었던 규격엔 1.618 이 존재하고 인터넷에 자료가 남아있거나 예전 자료로 사용하는 견해들이 있기 때문에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명확하게 크랩 패턴과 구별되어 1.27XA /와 0.786의 B포인트를 가지는 나비 패턴을 나비 패턴이라 하고 있습니다.
나비 패턴은 특히 B point를 0.786 으로 가지는 점이 가틀리 패턴이나 크랩 패턴과 구별되어지는 명확한 특성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나비 패턴은 B포인트의 규격도 +-3%라는 비교적 짧고 타이트한 허용범위로 설정됩니다.

그래서 나비 패턴을 그릴 때에는 1.27XA (초과 허용 범위 있음) 와 타이트한 B포인트의 0.786을 기억하시면 좋습니다.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가끔 0.786 B포인트를 두고 1.618 까지 올라갔다가 반전하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당연히 이러한 케이스들이 있으니 초기에 나비 패턴으로 규정 지어졌었다고 생각하며, 지금 규격으로는 나비 패턴이라 불리우지 않으니 B포인트를 이동하는 설정을 하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예시를 보면 만약 패턴이 완성되기 전에 선진입을 했다면 나비 패턴을 그려봤을 수도 있을 것 같은 자리입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1.618 나비 패턴일지도 모르는 부분이 바로 이런 부분을 두고 존재했었던 것일까 ? 라는 생각도 듭니다.

snapshot

같은 부분을 Deep 크랩 패턴으로 바꾸어 작도해 보겠습니다.

snapshot

X포인트를 살짝 이동시켜 이렇게 작도한다면 크랩 계열인 딥크랩 패턴으로 잘 맞습니다.

그러나 선진입시 X 포인트를 파동 끝이 아닌 곳으로 살짝 내린 다는 것은 훈련과 경험이 없다면 미리 고려하기 어려웠을 것 같습니다.
^^ 그러니 미래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정확히 모르나, 연습과 많은 경험을 통해 사전에 다양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둔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언제나 PRZ는 Potencial 잠재적인 영역이며, RSI 다이버전스도 컨펌이 나야 작동하듯, D포인트에 왔다 해서 반전이 되는 것이 아니라, 컨펌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D라 생각되는 곳에 빠르게 포지션 진입하는 것은 극타점을 잡기 위한 ,리스크를 고려한 하나의 전략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모니터링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 하루되세요~

Note
우연히 오늘 차트를 보다 좋은 예시를 발견하여 올려봅니다.
snapshot

이런 경우에 일반적으로 1.618 구간에서 다이버전스를 발생시킵니다. 추세가 너무 한방향으로 강했기 때문에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Type-1 의 반응 후 정확히 올라가서 만드는 굉장히 좋은 예시라 생각됩니다.
공부에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isclai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