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hereum / TetherUS
Updated

단기 하락세에서 벗어나기 위해 1777.05 이상 상승해야

166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ETHBTC 1W 차트)
snapshot
엄청 복잡하게 보이지만, 핵심은 간단합니다.

1. 0.072484-0.079552 구간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와
2. 0.048765-0.053586 구간에서 지지 받을 수 있는지 입니다.

-------------------------------------------

snapshot

--------------------------------------------

(ETHUSDT 1W 차트)
snapshot
1611.62 부근에서 지지 받고 1M 차트의 M-Signal지표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입니다.


(1D 차트)
1572.69-1879.61 구간에서 지지 받고 상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관건입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1340.12 부근에서 지지 받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777.05 이상 상승하게 되면, 단기 하락세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1777.05 이상 상승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상승세가 연장된다면, 2531.05-2871.13 구간을 터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모든 설명은 참고용으로 투자에 있어서 손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본 차트를 공유 받으면, 지표들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MRHAB-T지표에는 지지와 저항 지점을 표시해 주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Signal, HA-Low, HA-High 지표의 수식은 (tradingview.com/script/OUA6XoS6-HeikinAshi-MS-Signal-HA-MS/)에서 확인해 보세요.

(단기 Stop Loss는 분할 거래로 손익을 보존하거나 추가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투자 관점입니다.)

---------------------------------
Note
snapshot
Note
저의 차트를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부가 설명을 드립니다.

본 차트에서 추세를 볼 수 있는 지표는 총 3가지로 구분됩니다.
1. MS-Signal 지표, 하이킨아시(Heikin Ashi) 몸통(body) 지표
2. HA-Low, HA-High
3. -100지표, +100지표
위에 말씀드린 3가지로 추세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 3가지의 지표 모두 상승세를 보일 때 비로소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ETH는 3번. -100지표 이하에 위치해 있으므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번과 2번 사항이 모두 상승세로 전환되었다 하더라도 단기 하락세에 벗어나기 위해서는 1777.05 이상, -100지표 이상 상승하여 가격을 유지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완전히 하락세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100지표 이하는 하락세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00지표 ~ +100지표 사이는 횡보 구간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100지표 이상은 상승세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0지표 이상 상승하게 되면, 하락세에서 횡보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Disclaimer

The information and publications are not meant to be, and do not constitute, financial, investment, trading, or other types of advice or recommendations supplied or endorsed by TradingView. Read more in the Terms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