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_Ronies

비트코인의 하락, 목표가 예측

Short
K_Ronies Updated   
INDEX:BTCUSD   Bitcoin
비트코인의 주요 매물대 ( 거래량이 많고 가격이 지지와 저항을 반복한 구간) 는 다음과 같습니다.

65K, 51K, 45K, 37K, 31K, 25K, 16K, 9K, 6K, 3K

보는 관점에 따라 1-2K 정도 달라지겠지만 대부분 비슷한 의견일 것 입니다.


2024년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지만 시장 상황은 그리 낙관할 수 없습니다.


미 주식시장은 불안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거시 경제의 상황도 좋지 못합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 가 승인이 되더라도 가격의 방향은 결국 전체적인 시장 흐름에 좌우될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 주식이 전고점에 근접한 지금, 어느때보다 신중하게 시장을 바라봐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는 롱 포지션에 신중하여야 하며, 하락에 비중을 더 두는 것이 유리해보입니다.

비트코인이 37K 아래로 내려간다면 30K를 깨고 25K 까지 급하게 내려갈 수 있습니다.

지지 가능성이 높은 가격은 16K 부근이지만 금융 시장이 위기에 빠진다면 그 이하의 가격도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시장에서 '절대' 라는 것은 없습니다.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극단적인 상황 '블랙스완' 을 대비하여야 합니다.


2008년 부터 계속된 연준의 양적 완화는 경제의 펀더멘털을 바꿔 놓았습니다. 하지만 어떤 호황도 영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위기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갑자기 찾아옵니다.

2024년에 위기가 올 수 있지만 부디 그 위기를 큰 기회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Comment:

비트코인의 가격이 내려간다면 위와 같은 움직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비트코인이 그동안 보여줬던 고점에서의 분배 과정입니다.
Comment:

비트코인의 가격이 48K 를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Comment:
비트코인의 가격이 48K 를 넘는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차트의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Comment:

위와 같은 와이코프 분배 패턴이 아니라면 강한 상승이 나와줘야 합니다.
Comment:

강한 상승이 나왔으므로 앞으로 상승쐐기형 패턴을 만드는지가 포인트입니다.
Comment:

2020년 3월부터 시작된 저점을 잇는 내부 추세선을 마지막 저항선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승쐐기형 패턴을 만들고 50K 부근에서 고점을 만드는 것이 유력한 시나리오입니다.
Comment:
상승쐐기형 패턴 따위는 만들지 않들지 않고 바로 48K 로 직행할 듯 합니다. 그리고 거기서 차트 패턴을 만들 듯 합니다. 하지만 역시 틀릴 수 있습니다. 요즘 잘 맞히지 못하기 때문에 가설을 세우고 가설을 틀리기를 기다려 포지션을 잡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
Comment:

이런식의 되돌림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상상 그 이상을 보여주는 비트코인 입니다.
Comment:
ETF 승인과 함께 48K 돌파를 예상했으나 이제는 비트코인의 힘이 다한 듯 합니다. 내일까지 지켜보고 큰 포지션을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Trade active:
바이낸스 선물 차트 기준 비트코인이 피보나치 비율에 도달하였습니다.


위 빨간색 선이 장기 추세선이며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에서 숏 포지션에 진입합니다.
Comment:

위와 같은 상승 채널을 보고 있습니다. ETF 가 생긴 이후 차트는 더 안 좋아진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차트에서 원유 선물 차트와 비슷한 느낌을 받습니다.
Trade closed: target reached:
비트코인 차트가 기존의 움직임과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이 아이디어의 업데이트는 여기까지 합니다.
Disclaimer

The information and publications are not meant to be, and do not constitute, financial, investment, trading, or other types of advice or recommendations supplied or endorsed by TradingView. Read more in the Terms of Use.